마이코플라즈마란?
마이코플라즈마 종:
- 가장 작은 free living organism,
- 세포벽없다. 그래서 그람스테인 안됨.
- 베타락탐 항생제에 안듣는다.
- 항상 점막과 관계.
- 항상 세포밖에 존재함.
- Submucosa는 거의 뚫지 않음,
- 면역약한 사람, 기구사용시 submucosa침범가능함.
- 그래서 혈관 통해 다른 장기에 가기도 함.
- 어떤 종류는 intracellular pathogen 으로 존재하기도 한다.
사람에게는 17종의 마이코플라즈마 있다. 그 중 4가지가 주요한 병균
- M. pneumoniae-well established pathogen,
건강한 사람에게서는 거의 안나온다
- M. hominis, Ureaplasma species
- 생식기에 일어나는 마이코플라즈마 이다.
- 일반적으로 opportunist로 여겨진다.
- susceptible organism에는 invasive감염가능
- U urealyticum/ U parvum
- 두가지가 달리 분류된 것은 PCR검사때문
- U parvum은 흔하게 여러 검체에서 보임
- U urealyticum은 요도염등 병적상황에서 더 관찰됨
- M gentalium
- fastidious 성향을 보이고 천천히 자람
- M genitalium, M fermentans, M pirum, M penetrans 등 병적상황 가능.
- 이중 M genitalium이 중요한 병원성균임.
치료
테트라사이클린이 M.hominis에 전통적 선택약이었는데 저항성 보이기 시작함.
또한 Ureaplasma 45%에서도 내성을 보고. 그래서 현실적으로는 더 이상 사용 어려움.
독시사이클린이 MIC는 테트라사이클린보다 낮다.(MIC가 낮다는 뜻은 더 적은 용량으로 효과적이라는 의미)
클린다마이신이 테트라사이클린에 듣지 않는 M hominis에 사용가능하다.
단, Ureaplasma에는 덜 효과적이다.
마크로라이드, 플루오로퀴놀론, 테트라사이클린이 Ureaplasma에는 1차선택약이다.
Ureaplasma에 테트라사이클린 저항성이 보여도 에리스로마이신에 대한 저항성은 덜하다.
아지스로아이신 1그람 단회요법이 Chlamydia요도염 치료에 승인이 되었는데 ,
Ureaplasma요도염에도 7일 독시사이클린만큼 임상적 효과가 있다.
클래리스로마이신은 Ureaplasma치료에 아직은 승인되지는 않았다.
M hominis는 에리스로마이신 아지스로마이신 클래리스로마이신 등의 마크로라이드에는 저항성을 보인다.
테트라사이클린이나 에리스로마이신으로 Ureaplsma질염 치료는 잘 안된다.
플루오로퀴놀론은
M hominis나 Ureaplasma요로감염에 유효한 치료제제이다.
퀴놀론은 테트라사이클린 저항성을 보이는 M hominis 나 Ureaplasma감염에 영향을 받지 않고 사용할수 있다.
레보플록사신과 목시플록사신은 실험실에서 아주 큰 성과를 보였다.
특히 M hominis는 Ureaplasma보다 퀴놀론에 더 잘 반응한다.
그러나 퀴놀론저항을 보이는 Ureaplasma, M hominis균 반응도 보고가 있다.
특히 전에 이런 약제에 노출된 사람에게서 그렇다.
Mycoplasma species는 사람의 비침습적인 점막균주인데, 면역이 약한 환자들의 임상보고를 보니 파괴력과 진행성질환으로 발전할수 있는 힘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됨.
아미노글라이코사이드나 클로람페니콜이 때때로 생식기Mycoplasma에 효과가 있다. 다만 약물의 독성이 있고, 더 좋은 약의 대안이 있어서 잘 사용하지 않을 뿐이다. 그러나 클로람페니콜을 이따금 테트라사이클린 내성을 보이는 M hominis나 Ureaplasma전신감염에 사용함.
M genitalium은 테트라사이클린, 마크로라이드, 퀴놀론에 감수성이 있다.
테트라사이클린에 내성을 보이면 아지스로마이신이 M genitalium 요도염에 추천되어 왔다.
그러나 이것에도 안듣는 경우가 보고되고 있고, 레보플록사신에도 치료실패가 보고된다.
최근 M genitalium은 내성발현이 많다. 별도 테마로 게시되어 있으므로 참조 바람.
강남가드비뇨기과 원장 정리
참고문헌